시치고산 유래
옛날에는 어린이의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아이들이 일정나이(3, 5, 7세)가 되면 무사함에 감사드리고 축하해주는 뜻으로 시치고산(七五三)이 행해졌다고 한다.
현재에도 이 풍습이 이어져 내려와 아이들이 무사히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돌봐 주신 신에게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부디 건강히 잘 자랄 수 있도록 장래의 무사함을 기원하며 가까운 신사에 찾아가 참배하는 행사이다.
시치고산은 언제?
11월 15일이 시치고산의 날로 지정되어 있으나 보통 각자의 일정에 맞춰 15일 전 후로 11월중에 행해진다.
시치고산의 대상과 연령
성별에 따라 보통 남자아이는 5세(3세도 가능), 여자아이는 3살, 7살이 된 11월에 행해진다. 홀수인 7, 5, 3의 숫자가 길하다는 이유로 정해졌다고 한다.
시치고산 음식
이날 아이들에게 만들어주는 음식으로는 팥밥(세키항)과 생선(머리와 꼬리가 달린 생선, 주로 도미.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이 있고, 보통 신사에서 막대사탕(치토세아메)을 준다.
팥밥의 의미는 한국과 유사하다. 붉은 색으로 나쁜 액을 멀리하라는 의미가 있다.
도미를 먹는 이유는 보통 일본에서 축하하는 일, 좋은 일이 있을 때는 도미, 타이를 먹는다. 메데”타이”(축하해야 할 일, 상태를 의미하는데 도미가 일본어로 타이인데 타이가 붙어서라는 말도 있고, 홍백의 색은 좋은 일이 있을 때 사용되는 색. 붉은 색과 흰색 두가지색이 모두 담겨 있어서 사용한다는 설도 있다.)
막대사탕은 치토세아메라고 불리는 사탕이다. 千歳飴, 한자를 보면 천년, 긴 세월의 의미가 담겨있다. 사탕을 만들 때 잡아당기면 어디까지나 길고 가늘게 늘어난다. 가늘고 긴 사탕은 장수를 의미하고 끈기가 강한 언제까지나 건강하고 오래 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봉투에 두개가 들어가 있는데 여기서도 색은 홍, 백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인기있는 캐릭터가 그려져 있거나, 굳이 사탕이 아닌 초코렛, 구미, 캔디 등으로 다양하다고도 한다.
사실 막대사탕은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도 좋지만 특별한날에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달콤한 음식을 주고 싶어서 사탕이 생긴게 아닐까?
아들의 시치고산 이벤트를 할 때 들었던 생각은 평소에 안입는 옷을 여러겹 겹쳐입어, 무겁고 불편한 전통의상을 입고, 의식도 하고 사진도 찍어야하므로 긴시간 버티려면 사탕을 입에 넣어줘야 순조롭게 일이 진행이되는 것 같았다.
항상 곁에서 붙어있는 아이가 어느덧 이렇게 근사하게 성장하였구나 새삼 느낄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고, 앞으로도 건강히 무럭무럭 밝고 건강히 자라길 바라는 마음이다.
'일본에서의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교토 택시정보와 교토, 도쿄, 서울 택시비 비교해보기 (1) | 2022.12.25 |
---|---|
기온 마츠리 일정 (0) | 2022.07.26 |
3년 만에 열린 교토의 축제 - 2022 기온마츠리 (0) | 2022.07.22 |
일본의 칠석 - 다나바타 (0) | 2022.07.08 |
올해 어버이날, 어떤 선물하셨나요? (0) | 2021.05.10 |